반응형 전체 글64 2022/01/19 - 3일차 릴레이 릴레이는 전기로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말한다. 낮은 전압을 이용해 높은 전합을 제어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릴레이 회로 전원 연결 커넥터 설치 -> 220V 전구 소켓 설치 -> 12V 팬 설치 -> 커넥터-소켓- 팬-2채널 릴레이 배선 연결 코드 // 릴레이 제어 #define fanPin A2 // 12V DC 팬 제어 릴레이 핀 번호 #define lampPin A3 // 220V AC 전등 제어 릴레이 핀 번호 void setup() { pinMode(fanPin, OUTPUT); pinMode(lampPin, OUTPUT); } void loop() { testRelay(); } void testRelay(){ //팬, 전등을 교대로 동작 테스트 digitalWrite(fanPin, HIGH.. 고등학교/스마트홈 프로젝트 2022. 1. 20. 2022/01/18 - 2일차 RFID (RFID-RC522) - SPI 통신 RFID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전파를 이용해 근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이며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통신한다. 수동형(Passive) RFID는 리더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자체적인 전원 없이 동작하고 인식거리는 비교적 짧다. 능동형(Active) RFID는 자체적인 전원을 사용하여 전파 출력이 크고 인식거리도 길다. 회로 연결 라이브러리 설치 아두이노> 툴> 라이브러리 관리> MFRC522 설치 소스 코드 #include #include #define SS_PIN 10 #define RST_PIN 9 MFRC522 rfid(SS_PIN, RST_PIN); // 클래스 인스턴스 MFRC522:.. 고등학교/스마트홈 프로젝트 2022. 1. 18. 제3회 SW융합 학생 해커톤 (2021.10.22~2021.10.23) 제작 동기 친구들과 함께 이번 해커톤에 참가하게 되었다. 라는 책을 함께 읽고 책 속에서 문제를 발견한 후 창의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야 했다. 그리고 그것을 피지컬 컴퓨팅으로 구현하는 것이 목표였다. 우리는 에서 쓰레기로 뒤덮인 섬에서 해양으로 배출되는 쓰레기의 심각성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비해 보다 편리한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등의 쓰레기 재활용률을 높여 자연으로 유출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설계 및 계획 웹캠을 통해 들고 있는 쓰레기를 인식하면, 그 쓰레기가 어떤 쓰레기인지 판단한 후 판단된 쓰레기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아두이노에 전달하고 소리파일을 재생한다. 그러면 아두이노는 그 신호에 따라 플라스틱, 캔, 종이, 인식 안됨을 파악하여 스텝 모터와 .. 고등학교/제3회 SW융합 학생 해커톤 2022. 1. 18. 2022/01/17 - 1일차 개발 계획 시스템 기능 구성도 거리 센서를 사용해 차고 문을 제어하고, 온습도 센서를 사용해 환기팬을 제어하고 조도 센서로 전등을 제어한다. RFID를 사용해 도어락을 만든다. 그리고 아두이노를 모바일 APP과 블루투스로 연결해 모바일로 컨트롤할 수 있게 한다. 개발절차 1. 모듈별 기능 구현 2. 모듈 통합 3. 기능구현, 디버깅 1일차에는 부저, LED, 초음파 거리 센서, 온습도 센서 모듈의 기능을 구현했다. 아두이노 포트 구성 및 브레드보드 배선 능동 부저 & 자동점멸 LED 능동 부저는 미리 설계된 회로 때문에 음이 정해져 있고, 간단하게 0~5V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약 2KHz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고 음계를 나타내기에는 어렵다. 신호음이나 경고음으로 많이 사용한다. 능동부저와 수동부저의 .. 고등학교/스마트홈 프로젝트 2022. 1. 18.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